목록전체 글 (827)
His story
● 철강업? - 철강의 제조와 가공처리를 통해, 각종 철강재를 생산하는 산업 - 대표적인 기간산업이며, 막대한 건설비를 요하는 장치산업 (출처 : 두산백과사전, '철강업') - 대표적인 경기민감 산업, 산업의 구조적인 변화와 경기 사이클 변동을 잘 예측 → 최적의 경영 전략을 세울 수 있음. - 철강 산업 전체의 투자자본 수익률(ROIC) : 2006년 19% → 2010년 16%로 하락했다. (고부가제품군을 제외하고, 수익성개선은 제한적) ● 아르셀로미탈(ArcelorMittal)? - 2006년 1월 세계 1위 철강사 미탈(Mittal)과 2위 아르셀로(Arcelor)를 합병으로 탄생한 세계 최대 철강업체 ※ CEO : 락슈미 미탈(Lakshmi Niwas Mittal, 인도국적이며, QPR 구단주이..
● 한승환(삼성SDS 전무) - 삼성그룹에서 20년 동안 인사 업무만 담당한 대표적 인사통 - 1995년 : 그룹에 첫 도입한 개방형 채용 제도인 ‘열린 채용’ 실무담당 - 現 삼성SDS 인사팀장 - 現 인문계 인력 대상 소프트웨어 전문가 선발 & 육성을 책임지는 실무 총책임자(2013년 3월 초) ● 스펙(spec) 대신 자기 만의 스토리(story)를 가져라! - 스펙 : 꽉 막힌 교통체증과 비슷하다. 누군가 만들어 놓은 것을 쉽게 모방하는 것에 불과하다. (스펙을 쫓아가는 길 → 교통 체증에 막혀 자기 앞의 차를 결코 앞서갈 수가 없다.) "스펙에서 탈출하는 방법은 바로 자기 만의 스토리(story)" - 자신이 부족하다고 느끼는 곳 : 전환과 노력, 극복의 과정을 통해 스토리가 만들어진다. → 자..
● 특강일자 : 2013년 3월 13일(수) 오후 ● 장소 : 이화여대 포스코관 (강연 참가인원 : 약 280여명) ● 강사 : 안희만(現 홈플러스 부사장) ● 강사약력 - 육군사관학교를 졸업, 직업군인으로 근무 - 2001년 : 삼성테스코에 입사 - 2011년 : 임원 발탁 ● 강의 주요내용 1. '베이스캠프론' : 삶의 목표를 세우는 것은 에베레스트 산을 오르는 과정과 같다. - 베이스캠프의 위치에 따른 성공의 차이 베이스캠프 위치 성공인원 해발 2,000m 매년 2명 해발 6,000m 매년 500명 → 베이스캠프가 높을수록 성공 확률이 높다. 평소, '대단한' 인생 구호를 만들고, 그걸 성취하기 위해 노력해야한다!" 2. 지피지기 : 스스로의 상품가치를 정확하게 알고, 고객의 요구사항이 뭔지 공부하..
● 트리즈(TRIZ)란? "창의적 문제 해결" 을 뜻하는 러시아어 약자. (러시아어 : Teoriya Resheniya Izobretatelskikh Zadatch, 영어 : Theory of inventive problem solving) - 1956년 러시아 학자 겐리히 알츠슐러가 개발 ※ (계기) 러시아 특허 200만건 분석 → 파급력 있는 기술은 수십가지 패턴으로 정형화 되어 있다. → 가장 많이 활용한 아이디어 패턴 40개를 가지고 트리즈(TRIZ)이론 정립. - 문제발견 → 모순정의 → 사고전환 → (패턴 적용하여) 문제해결 의 순서로 진행 ● 트리즈(TRIZ)이론 40가지 ▶ 나누고 쪼개보자 ▶ 중요한 것만 남겨보자 ▶ 전체 중 부분만 바꿔보자 ▶ 짝짝이로 만들자 ▶ 별개의 것을 합쳐보자 ▶..
● 안티에이징(Anti-Aging)? - (정의) 젊음과 아름다움 추구 - (트랜드) 1) 인구고령화 급진전 : 늙어도 아름답게 늙고 싶다는 욕망 2) 외모중시 경향 ☞ "안티에이징"수요 급증 ※ 시장규모 : 300조원대 / 국내 : 2012년 11조 9,000억원대(최근 5년간 연평균 10.1% 성장) ● Personal Care Cost (개인 관리비용) : 1인당 GDP와 정비례 경향 → 향후 경제 성장시 안티에이징 산업도 커질 것! (관련산업 : 화장품, 의료, 이 · 미용 부분) ● 가장 주목받는 안티에이징 산업분야 : "항 피부노화" - 2002년 이후 10년간 출원된 안티에이징 특허 : 피부노화 관련(국가별 최소 47%~84%) 해당기업 및 국가 특징 일본 1) "먹는 화장품"제품 - DHC..
● 요약 1. 불확실성이 강해지는 현실속에서 리더들은 광적인 규율!(Fanatic Discipline)과 생산적 편집증 (Productive Paranoia), 실증적 창의성(Empirical Creativity)을 통해 불확실성을 줄여나가야 한다. - 자신의 감을 믿고 지르더라도(카리스마형 리더), 확실한 근거를 가지고 판단을 내려야 살아남을 수 있다. 2. 시나리오 경영을 통해 상황별 대응을 할 수 있는 준비가 필요하다. 3. 기업은 꾸준한 성장성을 유지할 수 있어야 한다. ● 성공한 기업 경영사례 ▶ 준비 : 9년간 ▶ 조건 - 2만 400개의 미국 상장 기업 중 - 1972년~2002년짜기 30년 동안 - 동종업계 경쟁사보다 10배 이상 높은 수익률을 투자자에게 안겨준 기업을 선정 ▶ 결과 : 7..
데이브 얼리치(Dave Ulrich) 미국 미시간대 경영대학원교수 ● '복합리더'만이 위기를 돌파하여, 기회로 바꿀 수 있다. - 2008년 금융위기 때, 유명 CEO(씨티그룹의 '척 프린스', 바클레이즈의 '로버트 다이아몬드')의 사퇴이유 : M&A 나 Marketing 등 한두 분야에만 특화되었다. ● 글로벌 기업내 HR의 시대에 따른 역할 변화(근거 : 'HR from the Outside-in' , 데이브 얼리치 저서) - 1980년대 이전 : 행정, 문서처리 등 기초잡무 중심 - 1980년대 : 기업문화선도 및 인사 정책혁신 - 1990년~2000년 후반 : 기업 내부 위주 혁신(기업 전략목표 적극기여) - 2011년~ 현재 : 기업 내 · 외부교감 통해 입체적 혁신 (외부고객 · 투자자 · 정..